국도 제35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35호선은 부산광역시 북구에서 강릉시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이다. 1981년 신설되었으며, 부산, 경상남도 양산, 울산광역시 울주, 경상북도 경주, 영천, 청송, 안동, 봉화, 강원특별자치도 태백, 삼척, 정선, 강릉을 경유한다.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에서 광명동까지, 영천시 금호읍 교대리에서 고경면 상덕리까지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안동의 도산서원에서 태백 초입까지의 구간은 미슐랭 그린 가이드에서 별점 하나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백시의 교통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 태백시의 교통 - 태백역
태백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선의 역으로, ITX-마음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제천, 원주, 청량리, 동해 방면 열차가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국도 제35호선 - 북영천 나들목
북영천 나들목은 경상북도 영천시 매산동에 위치한 익산포항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2004년 개통되어 국도 제35호선(천문로)을 통해 영천 시내와 연결되며 한국도로공사 영천지사가 관리한다. - 국도 제35호선 - 강릉 나들목
강릉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33번 교차로로, 국도 제35호선과 연결되며 2001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17년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구포역 (한국철도공사)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와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철도역으로,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등이 정차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도 운행된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국도 제35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노선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35 |
노선 이름 | 부산 ~ 강릉선 |
다른 이름 | 국도 제35호선 |
노선 정보 | |
관리 | 해당 정보 없음 |
총 길이 (km) | 458.6 |
총 길이 반올림 | 1 |
총 길이 참고 자료 | 해당 정보 없음 |
총 길이 참고 | 해당 정보 없음 |
개통 | 1981년 3월 14일 |
폐지 | 해당 정보 없음 |
노선 정보 | |
남쪽 종점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
경유 도시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교차로 | 해당 정보 없음 |
북쪽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천동 |
경유 지역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도시 | 해당 정보 없음 |
지선 종류 | 해당 정보 없음 |
지선 | 해당 정보 없음 |
이전 노선 종류 | 해당 정보 없음 |
이전 노선 번호 | 해당 정보 없음 |
다음 노선 종류 | 해당 정보 없음 |
다음 노선 번호 | 해당 정보 없음 |
둘러보기 | 해당 정보 없음 |
노선 정보 | |
주요 경유지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영천시 경상북도 청송군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봉화군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지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108호선 |
지도 | |
![]() |
2. 역사
- 1981년 3월 14일 : '''국도 제35호선''' 부산 ~ 강릉선 신설[3]
- 1981년 4월 13일 : 삼척군 장성읍 동점리 ~ 강릉시 성내동 115.4km 구간 개통[5]
- 1981년 5월 8일 : 월성군 내남면 월산리 ~ 봉화군 법전면 소천1리 166.6km 구간 개통[6]
- 1981년 5월 12일 : 양산군 동면 가산리 ~ 울주군 두동면 분계리 54.932km 구간 개통[7]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신설된 319km 구간으로 도로구역 결정[8]
- 1989년 3월 11일 : 양산군 하북면 용연리, 상북면 석계리, 대석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9]
- 1994년 7월 15일 : 삼척군 하장면 광동리 ~ 토산리 13km 구간, 정선군 임계면 송계리 ~ 봉산리 660m 구간 개통[10]
- 1995년 1월 12일 : 토산 ~ 임계간 도로(삼척군 하장면 토산리 ~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13km 구간 개통[11]
- 1996년 7월 1일 : 시점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에서 '부산광역시 북구'로 변경.[12]
- 1998년 1월 12일 : 금소교(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2km 구간 개통, 기존 구간 폐지[13]
- 1998년 6월 10일 : 통도사 ~ 언양간 도로(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방기리 ~ 교동리) 5.2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14]
- 1999년 9월 17일 : 오천1지구 위험도로(안동시 와룡면 가야리 ~ 오천리) 550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15], 오천3지구 위험도로(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340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350m 구간 폐지[16], 태3지구 위험도로(안동시 와룡면 태리) 340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360m 구간 폐지[17], 새터교(안동시 도산면 동부리) 460m 구간 신축 개통 및 기존 320m 구간 폐지[18]
- 2000년 2월 24일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교대리 ~ 고경면 상덕리 22.8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9]
- 2000년 12월 18일 : 안동정상 택지지구내 도로(안동시 정상동) 9.015km 구간 개통[20]
- 2004년 12월 28일 : 영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금호 ~ 임고 및 영천 ~ 고경 부분(영천시 오미동 ~ 완산동) 2.2km 구간 확장 개통[21]
- 2004년 12월 28일 : 영천 ~ 북안간 도로 및 북안 ~ 경주간 도로(영천시 금호읍 석섬리 ~ 경주시 광명동) 30.5km 전구간 확장 개통, 기존 36.3km 구간 폐지[22]
- 2004년 12월 29일 : 언양 ~ 인보간 도로(울주군 언양읍 직동리 ~ 두서면 인보리) 9.5km 구간 확장 개통[23] 및 기존 울주군 두서면 서하리 ~ 인보리 1.36km 구간 폐지[24], 인보 ~ 도계간 도로(울주군 두서면 인보리 ~ 경주시 내남면 월산리) 구간 8.12km 확장 개통[25] 및 기존 울주군 두서면 전읍리 ~ 두동면 봉계리 총 3.1km 구간 폐지[26]
- 2004년 12월 31일 : 도계 ~ 경주간 도로 중 경주시 내남면 일원(경주시 내남면 월산리 ~ 경주시 배동) 7.8km 구간 임시 개통[27]
- 2006년 1월 27일 : 도계 ~ 경주간 도로 중 경주시 내남면 일원(경주시 내남면 월산리 ~ 노곡리) 1.6km 구간 임시 개통[28]
- 2006년 12월 27일 : 도계 ~ 경주간 도로(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 탑동) 3.25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어 전 구간 개통[29], 기존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 배동 6.2km 구간 폐지[30]
- 2007년 2월 27일 : 경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효현 ~ 외동간 도로,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 광명동) 25.7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1]
- 2010년 10월 28일 : 경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효현 ~ 내남간 도로, 경주시 광명동 ~ 건천읍 화천리) 2.2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32]
- 2010년 12월 31일 : 안동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수상 ~ 신석간 도로(안동시 수상동 ~ 정상동) 4km 구간 확장 개통[33], 기존 안동시 정상동 ~ 남선면 신석리 6.5km 구간 폐지[34]
- 2011년 6월 27일 : 안동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수상 ~ 신석간 도로 개통에 의해 안동시 남선면 신석리 ~ 현내리 4.7km 구간 폐지[35]
- 2011년 12월 27일 : 노귀재터널(영천시 화북면 상송리 ~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 5.88km 구간 개통[36], 기존 7.1km 구간 폐지[37][38]
- 2011년 12월 30일 : 법전 ~ 소천간 도로(봉화군 법전면 어지리) 1.22km 구간 확장 개통[39], 기존 구간 폐지[40]
- 2012년 4월 30일 : 안동 ~ 길안간 도로(안동시 남선면 이천리 ~ 임하면) 1.45km 구간 부분 개통[41]
- 2014년 2월 6일 : 안동 ~ 길안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200m 구간 폐지[42]
- 2014년 3월 25일 : 안동 ~ 길안간 도로(안동시 임하면 신덕리 ~ 오대리) 5.454km 구간 부분 개통[43]
- 2014년 10월 29일 : 안동 ~ 길안간 도로(안동시 임하면 신덕리) 3.35km 구간 확장 개통[44] 및 기존 안동시 남선면 이천리 ~ 임하면 오대리 6.9km 구간 폐지[45], 도산우회도로(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3.39km 구간 신설 개통[46]
- 2015년 9월 21일 : 보현산댐 건설로 인해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 ~ 하송리 5.86km 구간 이설[47], 기존 5.55km 구간 도로 수몰로 폐지[48]
- 2016년 12월 22일 : 왕산 ~ 성산간 도로(강릉시 왕산면 목계리 ~ 성산면 금산리) 11.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강릉시 왕산면 도마리 ~ 성산면 구산리 5km 구간 폐지[49]
- 2018년 1월 30일 : 소천 ~ 도계간 도로 1공구(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 고선리) 10.02km 구간 임시 개통[50], 소천 ~ 도계간 도로 2공구(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고선리 ~ 태백시 장성동) 10.19km 구간 조기 개통[51]
- 2018년 3월 27일 : 소천 ~ 도계간 도로 2공구 구간 준공으로 인해 기존 봉화군 소천면 고선리 ~ 석포면 대현리 12.1km 구간 폐지[52]
- 2018년 6월 8일 : 기계 ~ 안동간 도로 4공구(안동시 길안면 천지리 ~ 임하면 오대리) 3.63km 구간 확장 개통[53], 기존 구간 폐지[54]
- 2018년 10월 17일 : 소천 ~ 도계간 도로 1공구 구간 준공으로 인해 기존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 고선리 13.2km 구간 폐지[55]
- 2019년 8월 1일 : 영천 ~ 삼창간 도로(영천시 화남면 선천리 ~ 금호리) 2.48km 구간 확장 개통[56], 기존 2.25km 구간 폐지[57]
- 2020년 4월 21일 : 영천 ~ 삼창간 도로(영천시 오미동 ~ 화남면 신호리) 4.3km 구간 확장 개통[58], 기존 영천시 도림동 ~ 화남면 신호리 905m 구간 폐지[59]
- 2022년 10월 11일 :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 ~ 법전면 소천리 2.2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2.5km 구간 폐지[60]
3. 주요 경유지
부산광역시 북구,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 청송군, 안동시, 봉화군,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삼척시, 정선군, 강릉시를 지난다.
영천시에서 안동시를 거쳐 강릉시에 이르는 구간은 도로 상태가 매우 열악하다. 태백산맥, 소백산맥을 관통하는 도로의 특성상 고갯길과 굽은길이 많아 매우 험난하다. 특히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와 태백시 사이(국도 제31호선과 중복)는 4차선 확장공사를 하고 있다.[3] 강릉시 성산면 ~ 홍제동 구간은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중 유일하게 영동고속도로와 중복되는 구간인데, 1981년 국도 신설 이전부터 영동고속도로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2001년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 이설 후 국도 역할만 하게 되었지만, 2014년 7월 15일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폐지 전까지 영동고속도로와 중복 표기되었다.[4]
- 구간 거리 (단위 km)
구간 | 거리 |
---|---|
부산광역시 북구 | 5.3 |
경상남도 양산시 | 26.6 |
울산광역시 울주군 | 26.8 |
경상북도 경주시 | 61.5 |
경상북도 영천시 | 63.1 |
경상북도 청송군 | 17.1 |
경상북도 안동시 | 92.0 |
경상북도 봉화군 | 54.7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 42.3 (시내 통과 구간 대부분이 31호선, 38호선과 겹치고 상장삼거리~황지교사거리 3.2km만 단독 노선)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 16.9 (남한강 수계)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15.1 (남한강 수계)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37.8 (삽당령 정상~ 강릉 종점) |
3. 1. 부산광역시
(낙동대로)(만덕대로)
백양대로
(수정역)
(화명역)
와석장터로
(화신중학교)
금곡고등학교
효열로
금곡동 행정복지센터
부산지방조달청
동원역
(금곡역)